견성군파 현조약기에는 총 3건의 인물자료가 존재합니다.
숙달(叔達) 1617∼1670 파명:견성군(甄城君)
숙달(叔達) [1617(광해군 9)∼1670(현종 11)]
자는 순원(舜元), 견성군의 6대손으로 평성부정의 현손이고 유번의 손자이며 문병의 장남이다. 어머니는 창원유씨이다. 배위는 숙부인 남양홍씨로 2남 1녀를 두었다.
공은 천품이 총혜하고 기질이 온량하며 행의가 두드러져 부모를 효성으로 섬기고 동기간에 우애로써 대하였다. 또 봉제사에 극진히 다하고 종족을 대함이나 향당에 처할 때나 비복을 거느릴 때나 한결같이 성심으로써 힘썼다. 이로써 돈독의 기풍이 집안에 충일하고 어질다는 명성이 세상에 자자했다. 공은 평소에 닦은 학문과 박식으로 1660년(현종 1) 식년 문과 갑과에서 방안(榜眼)으로 급제하여 사간원 헌납과 사헌부 장령을 지낸 후 해주목사에 제수되어 선정을 폈다. 그 후 1670년(현종 11) 6월 24일 병에 걸려 별세하였다. 그 때 나이 54세였다. 나라에서 공의 공적을 높이 인정하여 사패지를 가평군 조종면, 현 경기도 가평군 상면에 내려 주었다. 묘소는 경기도 가평군 상면 연하리 산1의 9 내묵동 능산 선영 묘하 갑좌에 부인 남양홍씨와 합장되었다.
자는 순원(舜元), 견성군의 6대손으로 평성부정의 현손이고 유번의 손자이며 문병의 장남이다. 어머니는 창원유씨이다. 배위는 숙부인 남양홍씨로 2남 1녀를 두었다.
공은 천품이 총혜하고 기질이 온량하며 행의가 두드러져 부모를 효성으로 섬기고 동기간에 우애로써 대하였다. 또 봉제사에 극진히 다하고 종족을 대함이나 향당에 처할 때나 비복을 거느릴 때나 한결같이 성심으로써 힘썼다. 이로써 돈독의 기풍이 집안에 충일하고 어질다는 명성이 세상에 자자했다. 공은 평소에 닦은 학문과 박식으로 1660년(현종 1) 식년 문과 갑과에서 방안(榜眼)으로 급제하여 사간원 헌납과 사헌부 장령을 지낸 후 해주목사에 제수되어 선정을 폈다. 그 후 1670년(현종 11) 6월 24일 병에 걸려 별세하였다. 그 때 나이 54세였다. 나라에서 공의 공적을 높이 인정하여 사패지를 가평군 조종면, 현 경기도 가평군 상면에 내려 주었다. 묘소는 경기도 가평군 상면 연하리 산1의 9 내묵동 능산 선영 묘하 갑좌에 부인 남양홍씨와 합장되었다.
양현(揚顯) 1661∼1750 파명:견성군(甄城君)
채원(采元) 1870∼1907 파명:견성군(甄城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