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직관아 검색창

* 검색어는 두글자 이상 입력해 주세요.
* 목록에서 관직의 제목을 클릭하면 설명이 나옵니다.
* 검색어 예시: 감찰사 공조 관찰사 교서랑...
* 검색어를 포함한 모든 관직이 검색됩니다.
  예를 들어 검색어로 대부 검색시 가덕대부, 가선대부...등이 모두 검색됩니다.

총 1443개의 관직자료가 존재합니다.

노사지(弩舍知)
신라 때 병부의 무관직으로 위계는 대사(大舍)에서 사지(舍知)까지임.
녹사(錄事)
고려 문하부(門下府)의 종7품 벼슬. 고려 정승성(政丞省)의 정9품 벼슬. 조선 때 각 관아에 속한 하급 이속(吏屬).
녹사(錄事)
[고려시대 관직]고려 문하부의 종7품 벼슬. 고려 정승성의 정9품 벼슬. 고려 전의시 · 군기시 · 혜제고 · 의제고 · 보원해전고 · 오부 · 연경궁제거사 · 왕비부 · 세자부 · 제왕자부의 벼슬. 8품부터 9품까지 있었음. 조선 때 의정부·중추원에 속한 경아전의 상급 서리의 총칭. 기록을 담당하거나 문서 · 전곡 등을 관장했고 상부(相府)와 육조에만 있었음.
단련판관(團練判官)
조선 때 지방의 진(鎭)에서 병사를 통속하는 임무를 맡았던 무관직.
당상관(堂上官)
용어[用語]관계의 한 구분. 문관은 정3품인 통정대부 이상, 무관은 정3품인 절충장군 이상을 말한다.
당하관(堂下官)
용어[用語]문관은 정3품인 통훈대부 이하 종9품인 장사랑(將仕郞)까지, 무관은 정3품인 어모장군 이하 종9품인 전력부위(展力副尉)까지를 통칭한다.
대각간(大角干)
신라 때 17등 관계(官階) 중 최고 관위(官位).
대간(臺諫)
조선 때 간언(諫言)을 관장하던 사헌부(司憲府)와 사간원(司諫院)의 관직을 통틀어 이르던 말.
대감(大監)
신라 때 시위부(侍衛府)의 무관으로 위계는 아찬(阿飡)에서 나마(奈麻)까지임. 조선 때 정2품 이상 관원(官員)을 높여 부르던 말.
대관(臺官)
조선 때 사헌부(司憲府)의 대사헌(大司憲) 이하 지평(持平)까지의 벼슬.
대광보국숭록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
조선 때 관계(官階)의 최고관으로 정1품의 종친(宗親) 의빈(儀賓) 문무관(文武官)에게 주던 벼슬.
대교(待)
조선 시대, 예문관(藝文館)의 정8품(正八品)벼슬. 1401년(태종 원년)에 예문 춘추관(藝文春秋館)을 예문관·춘추관의 둘로 나눌 때 수찬관(修撰官)을 이 이름으로 고침. 한림(翰林). 조선 시대, 규장각(奎章閣)의 정7품(正七品)으로부터 정9품(正九品)까지의 한 벼슬.
대군(大君)
고려 때 종친부에 속한 최고 관계(官階)로 종친(宗親)에게 주던 정1품 봉작(封爵). 조선 때 왕의 적자(嫡子) 중 그 적장자(嫡長子)는 대체로 왕(王)이 되고 그 밖의 아들은 대군이 되었다.
대군사부(大君師傅)
조선 때 대군을 가르치던 종9품 임시 관직.
대나마(大奈麻)
신라 때 17관등 중 10등 위계인데 다시 9등급으로 나눠졌다.
대농시(大農寺)
[고려시대 관직]미곡(米?)을 맡아 관리하는 기관으로 장은 경(卿)이다.
대대감(隊大監)
신라 때 각 군영(軍營)의 마병(馬兵) 혹은 보병을 지휘하던 무관(武官)으로 위계는 아찬(阿飡 : 6관등)에서 나마(奈麻 : 11관등)까지임.
대도사(大都司)
신라 때 대일임전(大日任典)의 으뜸 벼슬로 위계는 나마(奈麻)에서 사지(舍知 : 13관등)까지임.
대도호부사(大都護府使)
조선 때 대도호부를 다스리던 정3품관.
대보(大輔)
신라 때 재상(宰相)과 같은 최고 관직. 국사(國事)를 맡아 처리하였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