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직관아 검색창

* 검색어는 두글자 이상 입력해 주세요.
* 목록에서 관직의 제목을 클릭하면 설명이 나옵니다.
* 검색어 예시: 감찰사 공조 관찰사 교서랑...
* 검색어를 포함한 모든 관직이 검색됩니다.
  예를 들어 검색어로 대부 검색시 가덕대부, 가선대부...등이 모두 검색됩니다.

총 1443개의 관직자료가 존재합니다.

대부(大夫)
고려 조선 시대의 문산관(文散官) 관품(官品)의 명칭.
대사(大舍)
신라 때 17관등 중 열 두 번째 등급을 말한다.
대사간(大司諫)
조선 때 사간원(司諫院)의 최고직으로 임금에게 충간(忠諫)하는 일을 맡은 정3품 벼슬.
대사공(大司空)
조선 때 공조 판서(工曹判書)를 예스럽게 부르던 말.
대사구(大司寇)
조선 때 형조 판서(刑曹判書)를 예스럽게 부르던 말.
대사도(大司徒)
조선 때 호조 판서(戶曹判書)를 예스럽게 부르던 말.
대사마(大司馬)
조선 때 병조 판서(兵曹判書)를 예스럽게 부르던 말.
대사성(大司成)
고려 조선 때 성균관(成均館)의 정3품 벼슬.
대사헌(大司憲)
조선 때 사헌부(司憲府)의 장관으로 종2품 벼슬.
대상(大相)
고려 초기 문무 관계의 하나.
대아찬(大阿飡)
신라 때 17관등 5등 위계(位階).
대오(大烏)
신라 때 17관등 중 15등 위계(位階).
대원군(大院君)
용어[用語]왕의 대를 이를 적자손(嫡子孫)이 없어 방계(傍系) 친족이 왕의 대통을 이어 받을 때 그 왕의 친부(親父)에게 주는 직임.
대장(大將)
조선 때 종2품 무관직이며, 호위청(扈衛廳)에만 정1품 관을 두었다.
대장(臺長)
사헌부(司憲府)의 장령(掌令 : 정4품)과 지평(持平 : 정5품)을 가리키던 말.
대장군(大將軍)
신라 무관직의 으뜸 벼슬. 고려 때 종3품의 무관직.
대장대감(大匠大監)
신라 때 무관직으로 위계(位階)는 대나마(大奈麻 : 10관등)에서부터 사지(舍知 : 13관등)까지임.
대정(隊正)
고려 때 무관의 벼슬. 최하위 군관으로 종9품.
대제학(大提學)
조선 때 홍문관(弘文館) 예문관(藝文館)에 둔 정2품 관직.
대제학(大提學)
용어[用語]문형(文衡)이라고도 한다. 문형은 홍문관 대제학, 예문관 대제학에 성균관 대사성(大司成)이나 지사(知事)를 겸임해야만 한다. 대제학은 정2품의 관계(官階)이지만 학문과 도덕이 뛰어나고 가문에도 하자가 없는 석학(碩學) 석유(碩儒)만이 오를 수 있는 지위인데, 학자와 인격자로서의 최고지위라고 할 수 있어 본인은 물론 일문의 큰 명예로 여기었다. 대제학 후보 선정은 전임 대제학이 후보자를 천거하면 이를 삼정승(三政丞) 좌우찬성(左右?成) 좌우참찬(左右콷?) 육조판서(六曹判書) 한성부판윤(漢城府判尹) 등이 모여 다수결로 정한다. 대제학은 본인이 사임하지 않는 한 종신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