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영대군파 현조약기에는 총 46건의 인물자료가 존재합니다.
의징(義徵) 1643∼1695 파명:임영대군(臨瀛大君)
자는 대숙(大叔), 대군의 7대손이며 이조판서 응시의 아들이다. 1676년(숙종 2) 음직으로 진안현감에 배수되어 선정을 베풀었다. 1681년(숙종 7) 암행어사 오도일(吳道一)의 추천으로 양리(良吏)로 선발되어 임금이 포장하였다. 이어 남원부사로 전임하여서는 가뭄이 들면 농사를 못짓는 오수방에 보를 막아 농사를 짓게 하여 그곳 사람들이 감복하여 공덕을 영원히 기리기 위해 남원 오수방에 영세불망비(永世不忘碑)를 세웠다.
이어 내직으로 승차하여 1689년(숙종 15) 호조참의에 이어 충청도 관찰사, 곧 이어 수원부사를 배수받았다. 다음 해인 1690년(숙종 16) 어영대장에 임명되었으며 같은 해 3월 호조참판에 배수되었다. 1691년(숙종 17)에 공조판서에 특진되고 훈련대장을 겸임하였다. 이듬해 형조판서 겸 훈련대장에, 같은 해 7월 한성부판윤에 배수되고 훈련대장을 겸임하였다. 또한 임금은 갑주와 궁시를 하사하였다. 1693년(숙종 19) 9월 또 다시 형조판서를 제수받고, 같은 해 10월 다시 훈련대장이 되어 왕명으로 통진 문수산 일대를 답사하고 축성의 필요성을 진언하여 성을 쌓게 하였다. 11월에 지돈녕부사로 전임되었다.
1694년(숙종 20) 3월 장희빈과 장희재(張希載) 등이 밀모하여 폐비 민씨와 최숙원을 시해음모한다는 고변상소가 올라와 갑술옥사가 일어났다. 남인의 영수 민암(閔촒)을 비롯하여 모든 당상관이 유배되니, 공도 관직에서 물러나 거제현에 유배되었다. 새로 등장한 의정부와 간원에서 처형을 주장하였으나 임금은 번번히 허락하지 않았다. 대간의 끈질긴 탄핵으로 1695년(숙종 21) 정월 22일에 사약을 받고, 향년 53세로 세상을 떠났다. 1908년(순종 2) 3월 억울한 죄가 신원되고 복작되었다.
이어 내직으로 승차하여 1689년(숙종 15) 호조참의에 이어 충청도 관찰사, 곧 이어 수원부사를 배수받았다. 다음 해인 1690년(숙종 16) 어영대장에 임명되었으며 같은 해 3월 호조참판에 배수되었다. 1691년(숙종 17)에 공조판서에 특진되고 훈련대장을 겸임하였다. 이듬해 형조판서 겸 훈련대장에, 같은 해 7월 한성부판윤에 배수되고 훈련대장을 겸임하였다. 또한 임금은 갑주와 궁시를 하사하였다. 1693년(숙종 19) 9월 또 다시 형조판서를 제수받고, 같은 해 10월 다시 훈련대장이 되어 왕명으로 통진 문수산 일대를 답사하고 축성의 필요성을 진언하여 성을 쌓게 하였다. 11월에 지돈녕부사로 전임되었다.
1694년(숙종 20) 3월 장희빈과 장희재(張希載) 등이 밀모하여 폐비 민씨와 최숙원을 시해음모한다는 고변상소가 올라와 갑술옥사가 일어났다. 남인의 영수 민암(閔촒)을 비롯하여 모든 당상관이 유배되니, 공도 관직에서 물러나 거제현에 유배되었다. 새로 등장한 의정부와 간원에서 처형을 주장하였으나 임금은 번번히 허락하지 않았다. 대간의 끈질긴 탄핵으로 1695년(숙종 21) 정월 22일에 사약을 받고, 향년 53세로 세상을 떠났다. 1908년(순종 2) 3월 억울한 죄가 신원되고 복작되었다.
이정(以鼎) 1624∼1694 파명:임영대군(臨瀛大君)
일범(一范) 1700∼1756 파명:임영대군(臨瀛大君)
정수(廷秀) 1610∼1690 파명:임영대군(臨瀛大君)
정신(廷臣) 1559∼1627 파명:임영대군(臨瀛大君)
정익(廷翼) 1571∼1597 파명:임영대군(臨瀛大君)
진(캹) 1553∼1631 파명:임영대군(臨瀛大君)
추(樞) 1576∼1637 파명:임영대군(臨瀛大君)
충작(忠綽) 1521∼1578 파명:임영대군(臨瀛大君)
필(苾) 1659∼1746 파명:임영대군(臨瀛大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