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응대군파 현조약기에는 총 5건의 인물자료가 존재합니다.

민곤(敏坤) 1695∼1756    파명:영응대군(永膺大君)
  민곤(敏坤) [1695(숙종 21)∼1756(영조 32)]
 자는 후이(厚而), 호는 임은(林隱). 대군의 9대손이며 수성수의 6대손이다.
 아버지는 헌기(軒紀)이며, 어머니는 능성구씨로 환(奐)의 딸이다. 1718년 박필주(朴弼周)에게 사사하였고, 그 뒤 김한간(金翰幹) · 이재(李縡)의 문하에도 출입하였으며, <오자근사록변(五子近思錄辨)> 등을 저술하여 학계의 중망(重望)을 받았다. 1727년(영조 3) 사마시에 합격하고, 1735년 문과에 급제한 뒤 승정원의 주서가 되었다. 이어 사헌부의 지평이 되어 경연(經筵)에 나아가 의리를 밝히고 언로를 개척하게 하였다. 그 뒤 시임(時任) 정승을 탄핵하다가 삭직되었다. 1746년 다시 보령현감이 되어서는 <황극연의(皇極衍義)>를 지어 왕에게 바쳐서 왕도정치를 촉구하였다. 1755년 사간이 되었을 때 이천보(李天輔)를 탄핵하다가 귀양가는 조종보(趙宗溥)를 신원하는 상소를 올려, 언로를 막는 것은 망국의 근본이라 직간하다가 거제로 귀양갔다. 그 해 다시 풀려나 시강원의 보덕으로 승진되었고, 다시 사헌부의 집의와 사간에 임명되었다. 이 때 강도유수(江都留守)의 독직사건이 있어 이를 논핵하다가 육진(六鎭)으로 귀양가던 도중 금성(金城) 창도역(昌道驛)의 숙소가 불탈 때 타죽었다. 왕이 이 소식을 듣고 귀양을 풀고 관직을 회복, 도승지에 추증하였다. 저서로는 <임은집>이 있다.배위는 숙부인 풍양조씨로 양보(良輔)의 딸과 숙부인 청주정씨로 일(鎰)의 딸이다.
 묘소는 경기도 연천군 관인면 부곡리 자좌이다.
빈(빈) 1550∼1610    파명:영응대군(永膺大君)
사겸(士謙) 1654∼1725    파명:영응대군(永膺大君)
인우(仁祐) 1566∼1627    파명:영응대군(永膺大君)
정필(廷弼) 1587∼1660    파명:영응대군(永膺大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