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천군파 현조약기에는 총 125건의 인물자료가 존재합니다.
충원(忠元) 1537∼1605 파명:덕천군(德泉君)
충원(忠元) [1537(중종 37)∼1605(선조 38)]
자는 원보(元甫), 호는 송암(松庵) · 여수(驪叟), 시호는 충헌(忠憲). 신종군의 증손이며 회진군(會津君)의 손자이고 영선군(永善君)의 장남이다. 1566년(명종 21) 별시문과에 장원급제, 홍문관 수찬을 지냈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 형조참의로 조복(朝服)을 입고 걸어서 왕을 의주까지 호종(扈從), 서울로 돌아와 형조참판에 특진되었다. 그 뒤 중추원의 첨지중추부사·한성부판윤을 역임하였으며, 1604년 호성공신(扈聖功臣) 2등으로 완양부원군(完陽府院君)에 봉하여졌고, 공조판서에 제수되었다. 글씨에도 뛰어났는데, 작품으로는 경기도 고양의 <계원군이의묘비(桂原君李艤墓碑)>와 광주(廣州)의 <조찬성계상묘비(曺贊成繼商墓碑)>가 있다.
배위는 단양우씨 사철(思哲)의 딸과 안동권씨 광흥수(廣興守) 항(恒)의 딸이다.
묘소는 경기도 여주군 금사면 백자리 유좌에 있고 부조묘(不祧廟)도 그곳에 있다.
자는 원보(元甫), 호는 송암(松庵) · 여수(驪叟), 시호는 충헌(忠憲). 신종군의 증손이며 회진군(會津君)의 손자이고 영선군(永善君)의 장남이다. 1566년(명종 21) 별시문과에 장원급제, 홍문관 수찬을 지냈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 형조참의로 조복(朝服)을 입고 걸어서 왕을 의주까지 호종(扈從), 서울로 돌아와 형조참판에 특진되었다. 그 뒤 중추원의 첨지중추부사·한성부판윤을 역임하였으며, 1604년 호성공신(扈聖功臣) 2등으로 완양부원군(完陽府院君)에 봉하여졌고, 공조판서에 제수되었다. 글씨에도 뛰어났는데, 작품으로는 경기도 고양의 <계원군이의묘비(桂原君李艤墓碑)>와 광주(廣州)의 <조찬성계상묘비(曺贊成繼商墓碑)>가 있다.
배위는 단양우씨 사철(思哲)의 딸과 안동권씨 광흥수(廣興守) 항(恒)의 딸이다.
묘소는 경기도 여주군 금사면 백자리 유좌에 있고 부조묘(不祧廟)도 그곳에 있다.
충익(忠翊) 1744∼1816 파명:덕천군(德泉君)
탁(탁) 1628∼1702 파명:덕천군(德泉君)
탁원(鐸遠) 1777∼1840 파명:덕천군(德泉君)
태영(泰英) 1612∼1690 파명:덕천군(德泉君)
태형(太亨) 1735∼1799 파명:덕천군(德泉君)
태형(泰衡) 1699∼1764 파명:덕천군(德泉君)
하보(夏保) 1743∼1803 파명:덕천군(德泉君)
헌길((?吉) 1738∼1784 파명:덕천군(德泉君)
혁원(赫遠) 1802∼1869 파명:덕천군(德泉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