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원군파 현조약기에는 총 23건의 인물자료가 존재합니다.
위(瑋) 1555 ~ 1592 파명:완원군(完原君)
위(瑋) [1555(명종 10)∼1592(선조 25)]
자는 백규(伯規), 호는 경의재(景義齋). 완원군의 4대 종손이며 운흥정의 장남이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공은 외숙인 부산진첨절제사(釜山鎭僉節制使) 정발(鄭撥)과 그 휘하 병력 350명과 더불어 왜적 다수를 참했다. 그러나 부산성이 함락됨과 동시에 순절하니 춘추 38세였다. 공의 종제(從弟)완(琬)(1577∼1648)이 공의 의혼(義魂)을 불러 입던 옷과 신던 신발을 경기도 파주시 광탄면 마장리 선영 운흥정 묘하 계좌 언덕 증 정부인(貞夫人) 의령남씨(1557∼1589)의 묘소에 합봉(合封)하였다. 1699년(숙종 25) 9월, 정3품 당상 통정대부 승정원 좌승지 겸 경연 참찬관에 추증되었고, 1722년(경종 2) 6월, 종2품 가선대부 사헌부 대사헌에 다시 추증되었다. 1712년(숙종 38) 4월, 의정부 이조판서 이인엽(李寅燁)이 비문을 찬했으나 세우지 못했고 후에 경남 거창 국농소 농산재(農山齋)에 순의사적비(殉義事蹟碑)를 세웠다. 공은 배위 증 정부인 의령남씨와의 사이에 유종(惟宗) · 유길(惟吉) · 유상(惟祥) 등 3남과 2녀를 두었다.
1594년(선조 27) 8월, 선조대왕은 공의 장남 유종(1575∼1643)에게 선무랑(宣務郞) · 호조(戶曹) 군자감(軍資監) 종5품 판관(判官)을 내렸다. 유종은 곧 승진하여 정3품 당상 통정대부에 오르고 외관직으로 종3품 함경도 정평도호부사를 지냈다. 1699년(숙종 25)에는 현손 항(恒)(1662∼1713)이 공의 숭절(崇節)과 보공(報功)에 대한 표창은전을 상소하였다. 또한 1708년(숙종 34) 윤3월에는 좌의정 리유(李濡)와 이조판서 이인엽(李寅燁)이 계를 올렸고 사간원 사간 박행의(朴行義)가 소달(所達)하니, 숙종대왕이 정려(旌閭)의 은전을 내리고 충장공(忠壯公) 정발(鄭撥)과 일체적 정표로 포상을 내렸다. 그래서 1712년(숙종 38) 4월, 예조정랑 길경조(吉慶祖)와 공조 선공감역 이수형(李秀衡) 등이 서울 종가에 정려문 건립을 감독했다. 1791년(정조 15) 1월, 공이 동래 충렬사(忠烈祠) 배향자 명단에서 누락된 것에 대하여 거창(居昌)에 사는 윤억(尹檍)을 서두(序頭)로 한 유생 50인이 연명 발의문을 작성하였고 경상도 유생 수의명첩(收議名帖) 53주(州) 740인이 찬성하고 서명함으로써 공의(公議)를 불러 일으켰다. 그리고 공을 천곡(泉谷) 송상현(宋象賢)과 흑의장군(黑衣將軍) 정발 등과 함께 배향코자 합의하고 1793년(정조 17) 2월, 유생 윤면흠(尹勉欽) 등 260인이 본가사적(本家事蹟)과 전후 정장(呈狀), 동래도호부의 논보(論報) 등을 연첩(連帖)하여 의정부 예조에 수차에 걸쳐 진정하였으나, 사액(賜額)한 사(祠)에 관한 것은 특은(特恩)이 아니면 어려움이 있다 하여 허락되지 않았다.
공의 차남 유길의 후손 철우(哲雨) · 창우(昌雨) · 삼우(三雨) · 춘우(春雨) 등이 주축이 되어 1994년 9월부터 2년에 걸쳐 <조선왕조실록>을 비롯한 순의사적 등 모든 자료를 종합정리하여 관계요로에 건의 · 진정한 결과 사실(史實)이 인정되어 마침내 간절한 숙원이 이루어지게 되었으니, 공이 순절한지 404년 만의 일이다.
1996년 3월 24일 고유제(告由祭)를 올리고, 거창의 후손들이 다수 참반한 가운데, 동년 9월 10일 충렬사(忠烈祠 : 安樂書院)에 임진순절 5현(賢) 91위(位) 합사(合祠) 위패를 봉안, 배향되었다.
자는 백규(伯規), 호는 경의재(景義齋). 완원군의 4대 종손이며 운흥정의 장남이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공은 외숙인 부산진첨절제사(釜山鎭僉節制使) 정발(鄭撥)과 그 휘하 병력 350명과 더불어 왜적 다수를 참했다. 그러나 부산성이 함락됨과 동시에 순절하니 춘추 38세였다. 공의 종제(從弟)완(琬)(1577∼1648)이 공의 의혼(義魂)을 불러 입던 옷과 신던 신발을 경기도 파주시 광탄면 마장리 선영 운흥정 묘하 계좌 언덕 증 정부인(貞夫人) 의령남씨(1557∼1589)의 묘소에 합봉(合封)하였다. 1699년(숙종 25) 9월, 정3품 당상 통정대부 승정원 좌승지 겸 경연 참찬관에 추증되었고, 1722년(경종 2) 6월, 종2품 가선대부 사헌부 대사헌에 다시 추증되었다. 1712년(숙종 38) 4월, 의정부 이조판서 이인엽(李寅燁)이 비문을 찬했으나 세우지 못했고 후에 경남 거창 국농소 농산재(農山齋)에 순의사적비(殉義事蹟碑)를 세웠다. 공은 배위 증 정부인 의령남씨와의 사이에 유종(惟宗) · 유길(惟吉) · 유상(惟祥) 등 3남과 2녀를 두었다.
1594년(선조 27) 8월, 선조대왕은 공의 장남 유종(1575∼1643)에게 선무랑(宣務郞) · 호조(戶曹) 군자감(軍資監) 종5품 판관(判官)을 내렸다. 유종은 곧 승진하여 정3품 당상 통정대부에 오르고 외관직으로 종3품 함경도 정평도호부사를 지냈다. 1699년(숙종 25)에는 현손 항(恒)(1662∼1713)이 공의 숭절(崇節)과 보공(報功)에 대한 표창은전을 상소하였다. 또한 1708년(숙종 34) 윤3월에는 좌의정 리유(李濡)와 이조판서 이인엽(李寅燁)이 계를 올렸고 사간원 사간 박행의(朴行義)가 소달(所達)하니, 숙종대왕이 정려(旌閭)의 은전을 내리고 충장공(忠壯公) 정발(鄭撥)과 일체적 정표로 포상을 내렸다. 그래서 1712년(숙종 38) 4월, 예조정랑 길경조(吉慶祖)와 공조 선공감역 이수형(李秀衡) 등이 서울 종가에 정려문 건립을 감독했다. 1791년(정조 15) 1월, 공이 동래 충렬사(忠烈祠) 배향자 명단에서 누락된 것에 대하여 거창(居昌)에 사는 윤억(尹檍)을 서두(序頭)로 한 유생 50인이 연명 발의문을 작성하였고 경상도 유생 수의명첩(收議名帖) 53주(州) 740인이 찬성하고 서명함으로써 공의(公議)를 불러 일으켰다. 그리고 공을 천곡(泉谷) 송상현(宋象賢)과 흑의장군(黑衣將軍) 정발 등과 함께 배향코자 합의하고 1793년(정조 17) 2월, 유생 윤면흠(尹勉欽) 등 260인이 본가사적(本家事蹟)과 전후 정장(呈狀), 동래도호부의 논보(論報) 등을 연첩(連帖)하여 의정부 예조에 수차에 걸쳐 진정하였으나, 사액(賜額)한 사(祠)에 관한 것은 특은(特恩)이 아니면 어려움이 있다 하여 허락되지 않았다.
공의 차남 유길의 후손 철우(哲雨) · 창우(昌雨) · 삼우(三雨) · 춘우(春雨) 등이 주축이 되어 1994년 9월부터 2년에 걸쳐 <조선왕조실록>을 비롯한 순의사적 등 모든 자료를 종합정리하여 관계요로에 건의 · 진정한 결과 사실(史實)이 인정되어 마침내 간절한 숙원이 이루어지게 되었으니, 공이 순절한지 404년 만의 일이다.
1996년 3월 24일 고유제(告由祭)를 올리고, 거창의 후손들이 다수 참반한 가운데, 동년 9월 10일 충렬사(忠烈祠 : 安樂書院)에 임진순절 5현(賢) 91위(位) 합사(合祠) 위패를 봉안, 배향되었다.
유달(惟達) 1579∼1659 파명:완원군(完原君)
윤(贇) 1722∼1817 파명:완원군(完原君)
인호(仁鎬) 1767 ∼1815 파명:완원군(完原君)
장훈(章薰) 1860∼1936 파명:완원군(完原君)
정(王+貞) 1564∼1621 파명:완원군(完原君)
정훈(珽薰) 1845∼1915 파명:완원군(完原君)
조(肇) 1666∼1726 파명:완원군(完原君)
진(진) 1562∼1607 파명:완원군(完原君)
창섭(昌燮) 1719∼1800 파명:완원군(完原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