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령대군파 현조약기에는 총 149건의 인물자료가 존재합니다.

기호(起鎬) 1844∼1916    파명:효령대군(孝寧大君)
  초명은 창호(昌鎬), 자는 경로(景魯), 호는 학어(學漁). 대군의 17대손이며 장제부정의 14대손으로 부정 승규(承圭)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정부인 남양홍씨로 진사 재응(在膺)의 딸이다. 배위는 정부인 동래정씨로 승지 인성(寅性)의 딸이다.
 1864년(고종 1) 식년 문과에 병과로 급제, 검열 · 주서 · 사성 등을 지냈다. 1869년(고종 6) 상호도감(上號都監)의 도제조 이하를 시상할 때 집례(執禮)로 가자되었고, 이 해 4월에도 수릉 · 경릉 · 광릉 및 휘경원의 친제(親祭) 때 집례로서 역시 가자되었으며, 전한(典翰)으로 옥당(玉堂)의 연차에도 참여하였다. 1878년(고종 15)에는 영광군수 재직시의 치적의 포상으로 승서되었다. 1881년(고종 18) 좌부승지시 문경현으로 유배되었다가 곧 다시 풀려나서 이듬해 2월 가례도감의 전교관으로 가자되었다. 동 8월 진하사 겸 세폐사의 부사로 선임되었으며 병으로 인하여 대신 민종묵(閔鍾默)이 청나라에 다녀왔다.
 1885년(고종 22) 감시의 복시 시관을 겸임하고 1887년(고종 24)에는 이조참판으로 승차했다. 1889년(고종 26) 호군 · 대사헌 등을 지내고 이듬해 책보(冊寶)를 올리고 진하(陳賀)할 때 대거승지(對擧承旨)로 가자되었다. 1899년(광무 3) 궁내부 특진관이 되었으며 1901년(광무 5)에는 진충조화(盡忠遭禍)한 벽계군(碧溪君) 혼원(混源)의 역명부조지전(易名不?之典)을 상주하여 윤허를 받고 이듬해에는 비서원승을 거쳐 동 4월에는 정2품 칙임관 3등 정헌대부로 승계되어 장례원경에 임명되었으며 1904년(광무 8)에는 박정양(朴定陽) 등과 함께 산릉도감의 당상을 받아 보았고 이어 예조판서에 올랐다.
 묘소는 광주 의일리 묘좌이다. 부천사 기종(起鍾)이 쓴 묘지가 있다.
기호(起浩) 1862∼1938    파명:효령대군(孝寧大君)
기홍(起泓) 1864∼1921    파명:효령대군(孝寧大君)
길구(吉求) 1793∼1860    파명:효령대군(孝寧大君)
난(?) 1582∼1628    파명:효령대군(孝寧大君)
담(憺) 1567∼1644    파명:효령대군(孝寧大君)
대윤(大胤) 1530∼1596    파명:효령대군(孝寧大君)
도(燾) 1731∼1808    파명:효령대군(孝寧大君)
도겸(道謙) 1677∼1747    파명:효령대군(孝寧大君)
돈우(敦宇) 1801∼1884    파명:효령대군(孝寧大君)